개인이 무역을 할 일은 거의 없지만, 그래도 무역업에 종사하는 분들에겐 HS CODE 조회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HS CODE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무역 시에 사용하는 상품 코드와 같은 것입니다.
HS CODE는 전 세계적으로 정해놓고 사용하는 코드라 언제든 조회가 가능하지만, HS CODE 조회 하려면 어디서 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HS CODE 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HS CODE 조회 할 수 있는 곳은 바로 '관세청'인데요.
HS CODE 자체가 무역에서 쓰이는 상품코드이기 때문에
관세청에서 정리를 해놓는 것 같습니다.
위의 링크로 들어가거나 검색창에 관세청을 검색해서 들어갑시다.
관세청 외에도 HS CODE 조회 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제법 보이던데
아무래도 국립(?) 사이트인 관세청에서 하는 것이 가장 정확할 듯 싶습니다.
관세청 홈페이지로 들어왔으면 오른편에 보이는 퀵 메뉴가 있는데요.
여기서 '세계 HS정보'를 클릭합시다.
작아서 은근히 잘 안보입니다 ㅎㅎ;;
화면이 바뀌면서 세계 지도가 나오고, HS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세계의 국가들이 쭉 나오는데요.
배경에 그림이 있는데다 단색도 아니여서 가독성이 조금 떨어지지만
'한국'을 찾아서 클릭해주세요.
HS CODE 조회 할 수 있는 페이지로 넘어오게 됩니다.
이 중에서 자신이 찾으려고 하는 상품이나 품목을 찾으면 되는데요.
표로 정리를 해놓기는 했지만, 워낙 많고 복잡해서
검색 기능을 이용하는게 더 빠를 것 같습니다.
그래도 내용이 어떻게 써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맨 처음에 보이는
'살아있는 동물' 항목으로 들어와봤습니다.
당나귀, 노새, 소, 돼지 등 갖가지 분류별로 나누어 놓은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밑에는 해설도 따로 써놓았네요.
이번에는 검색 기능을 이용해서 HS CODE 조회 해보겠습니다.
직구할 때 많이 사는 '의류'를 검색해봤는데요.
의류와 관련된 것들이 쭉 나옵니다.
정말 종류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이 중에서 고무로 만든 의류 및 의류 부속품의 HS CODE 조회 해보겠습니다.
항목을 클릭하니 화면이 바뀌면서 세부적인 내용이 뜨는데요.
고무로 만든 의류와 의류 부속품의 대분류는 4015,
그 하위 항목인 장갑, 벙어리잡ㅇ갑은 4015-1,
외과용 장갑은 4015-11-0000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HS CODE 조회 하면 쉽고 빠르게 조회할 수 있답니다.
하지만 만약 원하는 HS CODE 조회 못했다면
관세청에 직접 전화해서 문의를 하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다는 것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S CODE 조회 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
'이것저것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갈이 마우스피스 가격 얼마인지 알아보자 (0) | 2016.08.04 |
---|---|
가전제품 무료수거 신청하는 방법 정리 (0) | 2016.08.03 |
양도세 자동계산 방법 1분이면 계산 완료! (0) | 2016.08.02 |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쉽고 빠르게 하는법 (0) | 2016.08.01 |
레쿠바 이용해서 삭제된 파일 복원하는 방법 (0) | 2016.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