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적으로 해야만 하는 일들이 몇 가지 있죠. 운전면허증 갱신이라던가 하는 것들 말입니다. 자동차를 가지고 있다면 자동차 정기검사도 정기적으로 해야하는데요.
미리 알려주기도 하지만, 통지를 받기 전에 자신이 먼저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해보고 알아두는 것이 더 좋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온라인으로 쉽고 신속하게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하려면 교통안전공단에서 할 수 있는데요.
포탈에서 교통안전공단을 검색한 후 들어갑니다.
위 사진은 교통안전공단의 메인 페이지의 모습입니다.
중간에 보면 '바로가기' 메뉴가 모아져있는게 보이는데, 이 중에서
'자동차 검사'에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밑으로 메뉴가 추가적으로 나타는데요.
'자동차검사 날짜조회' 메뉴로 들어가면 된답니다.
우선 자신이 자동차 정기검사 대상인지 알아봐야겠지요.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하려면 우선 두 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자동차 등록번호고, 두 번째는 주민/사업자등록번호 또는 법인번호입니다.
이 두 가지는 미리 준비해두고 있는 것이 빠르게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할 수 있는 길이겠죠?
그리고 자동차 정기검사는 검사유효기간 만료일의 전후로 31일 이내에 받아야 한답니다.
이 기간 내로 검사를 받지 않으면 과태료를 내야하니 주의하세요!
그러면 새 탭이 열리면서 자동차 등록번호와
주민번호/사업자번호/법인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알맞게 입력을 하고 검색을 하면 자신의 검사유효기간 만료일자를 알 수 있습니다.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결과 자신이 대상자라면 검사예약을 미리 하는 것이 좋은데요.
검사 예약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인터넷 검사 예약,
다른 하나는 인터넷 사전 접수입니다.
인터넷 검사 예약은 예약일자 및 방문시간을 예약할 수 있고
인터넷 사전 접수는 검사일자만 사전예약하고 현장 방문접수를 해야 합니다.
둘 다 정기검사 및 종합검사를 하는 것은 똑같습니다.
검사 예약을 하려면 역시 자동차 등록번호, 주민/사업자/법인번호 6자리와
예약자 휴대폰 번호가 필요합니다.
예약을 하면 수수료 중 1,200원을 감면해주니 예약하는 것이 좋겠지요 ㅎㅎ
장애인과 국가유공자에게는 최대 50%까지 검사수수료를 감면해주고 있으니
해당자는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증명서와 자동차용 표지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동차 정기검사 조회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하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이것저것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HS CODE 조회 하는 곳과 하는 방법 (0) | 2016.08.02 |
---|---|
양도세 자동계산 방법 1분이면 계산 완료! (0) | 2016.08.02 |
레쿠바 이용해서 삭제된 파일 복원하는 방법 (0) | 2016.08.01 |
지역별 출산장려금 나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0) | 2016.08.01 |
노령연금 수급요건 누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0) | 2016.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