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알아보자

잡코리아 맞춤법검사기 활용해서 오탈자 고치기

└─┐ 2017. 4. 21. 12:34
반응형


잡코리아 맞춤법검사기 사용해서 오탈자 바로잡기


취직이 힘들다, 구인난이다라는 말이 벌써 여러 해 전부터 나오고 있지만 딱히 사정이 나아지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더 악화되고 있는게 체감온도라고 할까요.



그래도 수많은 취준생들이 오늘도 이력서를 씁니다. 이력서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게 바로 맞춤법이지요. 맞춤법 틀린 곳은 없는지 일일이 확인하려면 지치는데요. 그럴 때는 잡코리아 맞춤법검사기 기능을 이용해서 맞춤법을 바로잡아봅시다.




잡코리아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능인만큼

당연히 잡코리아 사이트로 들어가야겠죠?

검색창에 홈페이지 이름을 검색해서 들어가봅시다.




메인 홈페이지 화면에서 가운데 부근을 보면

심플하게 생긴 아이콘들을 모아놓은 메뉴가 보이는데요.

이 중에서 오른쪽 제일 처음에 있는 잡코리아 맞춤법검사기

아이콘을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맞춤법 검사에는 두 가지 기능이 있는데요.

이미 작성된 이력서 또는 자소서를 불러와서 고치는 방법과

직접 입력해서 고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미 완성되거나 작성중인 것이 있다면 바로 불러올 수 있고

간단하게 몇 가지만 알아보고 싶다면 즉석으로 입력후 확인하면 됩니다.




정확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몇 가지 예문을 입력해보았습니다.



의도적으로 오탈자를 내거나 맞춤법에 맞지 않게 해봤구요.

이제 하단의 검사 버튼을 클릭해서 확인해볼 차례입니다.




잡코리아 맞춤법검사기 이용해서 오탈자와 문법적 오류를 찾아보니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 같았습니다.

'가나다라마바사'는 문법적 오류나 오탈자에 들어가지 않나보네요.

그 외의 것들은 모두 틀린 부분을 잡아내었습니다.

하단에 수정된 내용 파일 다운로드 버튼이 있는데요.

다운로드 하기 전에 수정을 해야겠지요? 




그 밑으로 좀 더 내려가서 보면 도움말이 있습니다.

어떤 단어가 틀렸고 그 틀린 부분을 대체할 수 있는

올바른 단어나 문법을 알려준답니다.

가장 오른쪽에는 대체어 적용 버튼이 있는데요.

이걸 누르면 입력했던 내용에서 바로 수정을 해줍니다.




대체어 적용 기능을 사용한 모습입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되던 틀린 부분이 다시 파란색으로 표시되면서

대체어로 대체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어가 모두 정확하거나 또는 자신의 의도와는

다르게 쓰일 수 있으니 맹신하지는 말고 더블체크를 꼭 해야겠지요!


지금까지 편리한 잡코리아 맞춤법검사기 기능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맞춤법이나 오탈자 검사에도 체력을 최대한 아껴야지요^^



반응형